반응형 전체 글42 건강/요양 정산보험료 분할납부 신청하기 안녕하세요.공포의 4월이라 할 수 있는데요.바로 건강/요양/고용 정산보험료가 고지되는 달입니다.매년 건강/요양보험은 3월 10일까지, 고용보험은 3월 15일까지 보수총액을 신고하고 신고한 보수총액과 근무월수, 납부한 보험료 등을 토대로 정산이 이뤄집니다.정산보험료는 4월 고지에 반영되는데요.정산이 이뤄지면서 추가부과보험료 또는 반환보험료가 생길 수 있습니다.추가 부과 보험료의 경우 납부한 보험료보다 보수총액의 확정보험료가 높을 경우 차액을 부과해야 하며, 차액이 당월보험료의 100분의 100 이상인 경우 분할납부 가능합니다.추가부과 보험료가 너무 높으면 한 번에 납부하기 부담스럽잖아요.그래서 분할납부 신청하는 방법 안내드리겠습니다.분할납부 신청하는 방법KT EDI 신고서 작성 클릭 후 건강신고서 눌러주세.. 2025. 4. 17. [연말정산] 중도 입사자의 연말정산 안녕하세요. 이제 연말정산을 준비하는 시점에 중도입사자의 경우 연말정산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먼저 이전 회사에서 원천징수영수증을 받아야현 직장에서 같이 연말정산을 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이전 회사에서 원천징수영수증 받기 불편한 상황이 있을 수 있죠?이럴 경우에도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이전 회사에 연락할 수 없다면이직 한 회사에서 현 직장 연말정산만 진행합니다.만약 작년 7월에 이직했다면 7월부터 12월까지의 내역을 현 직장에서 연말정산 하면 됩니다. 이후 5월 종합소득세신고로 나머지 기간을 정산하면 됩니다.모든 사업자는 3월 10일까지 원천징수내역을 신고해야 하므로 5월 종합소득세 신고 시이전 회사 원천징수영수증을 확인할 수 있어 연락하기 불편하다면 이 방법으로 진행하시면.. 2025. 1. 7. [연말정산]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파헤치기 안녕하세요.오랜만에 인사드립니다.곧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가 오픈되는데요.연말정산을 하게 되면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라는 말을 많이 볼 수 있는데 정확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소득공제총소득을 깎아 주는 게 소득공제입니다.세금은 많이 벌면 많이 내고 적게 벌면 적게 내는데요. 소득이 낮게 책정되면 세금이 줄어들겠죠.소득공제는 세금을 매길 때 기준이 되는 소득을 깎아주는 겁니다. 예를 들어 총급여액이 5,500만 원이라면624만 원 + (500만 원*24%=120만 원) = 744만 원으로 계산됩니다. 500만 원 소득공제를 받았다면총급여액이 5,000만 원이 되면84만 원 + (3,600만 원*15%=540만 원) = 624만 원입니다. 소득이 과세표준 구간에 가깝다면 소득공제를 활용해서 과세표준 구간을 .. 2025. 1. 6. 구직급여 수급 중 취업하면 취업사실 신고해야합니다. 안녕하세요. 실업급여를 받고 있는 도중에 취업을 하게 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바로 취업사실신고를 해야 합니다. 취업사실신고를 하지 않게 된다면 부정수급대상자가 될 수 있으므로 꼭 신고하셔야 합니다. 취업사실신고는 취업한 날로부터 2개월 이내 고용 24 홈페이지 통해서 신청가능하고, 고용센터로 팩스나 방문으로도 신고할 수 있어요. 취업사실신고하는 방법취업해서 취업사실신고했으나 바로 퇴사하게된다면 어떻게될까요?남아있는 소정급여일수가 있다면 다시 재실업신고를 통해 남은 일수의 구직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재실업신고하는 방법 구직급여 중 취업하게 된다면 처리해야할 방법과 취업했으나 바로 퇴사하게될 경우를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취업사실신고 #재실업신고 2024. 10. 21. 연차수당 지급 및 계산방법 안녕하세요. 근로자에게 연차는 너무 소중하죠? 연차란 무엇인지 또한 지급기준 및 계산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연차란?근로기준법 제60조에 따라 근로자가 받을 수 있는 유급휴가입니다. 1년 미만 근로자 - 1개월 개근 시 1일 유급휴가 (최대 11일의 월차 발생) - 근무일에 따라 비례 계산 1년 이상 근로자 - 80% 이상 근로 시 15일의 유급휴가 - 2년마다 1일씩 증가 최대 25일의 유급휴가 발생 법적 상한 연차 개수는 25개입니다. 연차수당 지급기준연차수당이란 근로자가 연차휴가를 사용하지 않고 남아있는 경우에 임금으로 지급받는 수당을 말합니다. 다만 무조건은 아니며, 촉진제도 시행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미사용 연차휴가 사용 시기를 정하도록 통지하고 사용을 촉구.. 2024. 10. 18. [급여] 퇴사자 추가 지급 건 발생시 처리 방법 2탄 안녕하세요. 퇴사자에게 추가 지급건이 발생하였을 경우 4대 보험 처리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고, 2024.10.11 - [분류 전체 보기] - [급여] 퇴사자 추가 지급 건 발생 시 처리 방법 1탄 이제 소득세 및 원천세 신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추가 지급건이 발생했다면 소득세도 달라지겠죠? 퇴사 시 최초 발생한 소득세와 추가지급건으로 변경된 소득세의 차액을 근로자에게 공제하고 해당금액만금 원천세 신고를 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확인해 보겠습니다. 9월 30일 퇴사 후 10월 15일 추가지급건 2,000,000원 발생하였다고 가정했을 경우퇴사 시 소득세(정산)는 -174,350원, 지방소득세(정산)는 -17,430원이었습니다. 추가 지급건 발생으로 재정산 결과 소득세(정산)는 -161,120원, 지.. 2024. 10. 16. 이전 1 2 3 4 ··· 7 다음